본문 바로가기
ai동향기사

뉴로모픽칩을 이용한 반창고 웨어러블기기

by 민초맛고양이 2022. 8. 20.
728x90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427 

 

“반창고처럼 붙여”...피부 같은 뉴로모픽 칩으로 건강 데이터 분석 - AI타임스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환자가 부착할 수 있는 반창고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가 나왔다.매터(Matter) 저널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이 장치는 시카고 대학(University of Chicago)의 연구진이 AI와 \'뉴로모

www.aitimes.com

인간 뇌의 뉴런 세포를 모방하여 만든 AI 인공신경망. 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뉴로모픽 칩이란 이를 하드웨어적으로 뉴런 세포를 구현한 회로라고 한다.

시카고 대학에서 뉴로모픽 칩을 이용하여 반창고처럼 붙여서 사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개발했다고 한다.

 

기존의 비슷하게 우리가 찾아볼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로는

애플 워치와 갤럭시 워치를 볼 수 있다.

애플 워치의 경우 필자의 어머니가 사용 중인데, 심전도 기능이 탑재되어있어,

시계가 상시 심장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상 심장과 다른 움직임을 보일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내준다.

 

국내에서는 갤럭시 워치의 심전도 기능으로 이상 징후를 발견해 정밀검사를 받게 된 사례도 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820000782 

 

“백신 맞으니 심장이 아파” 갤럭시워치 ‘구세주’ 된 사연?

“‘갤럭시워치4’로 아내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 잡아냈어요.” 스마트워치에 탑재된 심전도 측정 기능으로 백신 접종 부작용 징후를 포착한 사연이 화제다. 심장이 아파 찾아간 일반 병원에

biz.heraldcorp.com

평소에 건강에 신경을 많이 쓰거나 심장병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필수일 건강 웨어러블 기기.

가격도 가격이지만 휴대성에서는 아직 불편하다는 점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평소에 시계를 자주 차고 다니는 사람이라면 상관없지만 그게 아닌 사람이면 불편할 테니까.

뉴로모픽 칩을 이용한 기기라면 체내에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에 부착만 하면 되니

거부감도 덜할뿐더러 휴대성에서도 굉장히 편할 것이다.

댓글